마이산

예로부터 우리나라는 나라에서 명산대천에 제사를 지내는 관행이 있어 격에 따라 대사(大祀), 중사(中祀), 소사(小祀)로 나뉘는데 그중 마이산은 《삼국사기》에 소사(小祀)에 해당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 전통은 이후 면면히 계승된 것 같다. 조선 영조 46년(1770년)에 편찬된 《문헌비고》에도 마이산신제가 기록되어 있다.

"마이산단(馬耳山壇) : 신라 사전(祀典)에 "서다산(西多山)이 백해 군(伯海 郡)에 있는데, 고을의 명산으로 소사(小祀)에 들었다." 하였다. 고려에서도 그렇게 좇았다. 본조에서는 태종(太宗) 13년에 남행(南行)하였을 때 이 산 밑에 가게 되었는데, 관원을 보내어 제사하고, 마이산이라 이름을 내려 주었다. 지금도 본 읍에서 봄·가을에 제사 지낸다."

위의 기록을 통해 18세기까지 마이산에서는 나라에서 지내는 산신제가 거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 산신제가 언제 없어졌는지는 자세히 알 수 없지만, 조선말 혼란기 이후 일제강점기 현이 없어지면서 흐지부지 소멸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이후 1984년 진안군에 의해 '마이산신제'가 부활하였는데, 진안군민의 날 전날인 10월 11일에 마이산 동봉기슭 은수사 뒤에 마련된 산신제단에서 나라의 평안과 군민 가호를 기원하는 산신제가 올려진다. 제의는 유교식으로 진행되며, 초헌은 진안군수 아헌은 군의회 의장이 맡는다. 이러한 전통이 비록 근래에 복원되기는 했으나 마이산신제는 멀리 신라로부터의 전통을 잇는 셈이다.


마이산
OPEN'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마이산 산신이야기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메뉴 관리부서 : 안전환경국 관광과 마이산관리팀
  • 연락처 : 063-430-8752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배너모음
배너모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