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고려인삼 뿌리의 전체형태는 뇌두(腦頭), 지근(支根), 측근(側根), 근모(根毛) 등 주근 이외에도 많은 잔뿌리가 나 있고 마치 사람의 형태와 비슷하다.
고려인삼이 생장하는 동안에 형상이 변하는데 1차년도에는 뿌리가 비대해 지면서 30∼40개의 지근이 나지만 2차년도 이식하는 동안에 지근은 모두 끊기고 주근만 심으면 다시 지근이 나오는데 3차년도에 주근의 신장과 지근의 수가 고정되어 이어서 4∼5년간 재배시에는 주근이 비대해지고 지근 및 세 근의 생장이 촉진되어 인삼특유의 형상이 완성된다.
홍삼으로 가공되는 6년 근은 뇌두가 형태가 견실하게 되고 동체는 길이 7∼10 cm, 직경 2∼3 cm, 몇개의 지근을 가지며 뿌리전체의 길이 34cm, 무게 40∼120g, 때로는 300g 에 달하기도 한다.
인삼의 형태 - 화 및 과실, 화경, 장엽, 경, 뇌두 및 지하경, 주근 및 동체, 지근, 세근
한편, 7년이상 자라게 되면 비대성장은 더디어 지고 체형이 불량해지며 표피는 목질화 된다.
또 가공 하였을 때 속이 비거나 속이 하얗게 많이 발생한다.
청정수삼을 생산하기 위해 파종부터 수확에 이르기까지 재배 전 과정에 대한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
인삼의 재배방법은 보통 작물과 달리 특이하여 인삼은 한번 심으면 최소한 15년동안 다시 심을 수 없고 토양과 지형에 따라 수량이 크게 다르므로 인삼에 맞는 땅을 골라야 한다.
그리고, 산삼의 자라나는 환경과 가능한 가깝도록 하기 위해서 재배에 맞는 지역을 미리 준비하고 깊은 산의 활엽수를 모아 1∼2년간 인삼재배가 예정된 지역에 이를 사용 인삼의 생육에 적합하도록 토양을 바꾸어 준다.
우량한 인삼이 생육 되도록 하기 위해서 생장이 좋은 인삼에서만 종자를 채취하고, 채취한 종자 중에서 우수한 종자만을 엄선하여 묘삼을 생육한다.
그리고, 특수한 상토를 만들어 기른 묘삼을 이식하여 해가림을해서 화학비료를 주지 않고 기른다.
고려인삼의 재배는 전통유기농법을 그래도 유지하고 있는 가장 도래된 시설농업이라 할 수 있다.
두둑의 방향은 나침반을 사용하여 만들고 해가림은 하루중 또는 계절에따라 인삼이 직사광선을 직접 받지 않도록 설치한다. 인삼은 뇌두,동체,각부가 균형 있게 발달된 큰 뿌리로 키우는 것이 재배의 핵심이다.
고려인삼은 보통 4∼6년 재배후 밭에서 캐어내는데 채굴한 상태의 인삼을 수삼(水蔘)이라고하며 건조하지 않았기 때문에 생삼이라고도 한다.
수삼은 보통 75% 내외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 채굴된 상태 그대로는 1주 이상의 저장이 어렵고 특히 유통과정 중에 부패하거나 손상이 일어나기 쉽다. 그러므로 수삼을 건조하면 장기간의 저장이 가능한데 이렇게 건조된 것을 백삼(白蔘)이라고 한다. 백삼은 가공형태에 따라 직삼(直蔘), 반곡삼(半曲蔘), 곡삼(曲蔘)으로 구분된다.
홍삼(紅蔘)은 6년근 수삼을 정선하여 껍질을 벗기지 않은 채, 증기로쪄서 건조시킨 원형을 유지한 삼으로 담적갈색 또는 농다갈색을 띤 저장성이 좋은 인삼이다. 고려홍삼은 뇌두의 견실도, 동체와 지근의 균형, 색깔, 내부조직등의 기준에 의하여 천삼(天蔘), 지삼(地蔘) 및 양삼(良蔘)으로 등급이 매겨진다.
이와 같이 원형을 유지한 제품 이외에도 유효 성분을 추출한 엑기스나 분말제품도 있고, 이들을 원료로한 분말, 차, 음료 등 가공제품이 개발되어 유통되고 있다.
청정수삼을 생산하기 위해 파종부터 수확에 이르기까지 재배 전 과정에 대한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 인삼의 재배방법은 보통 작물과 달리 특이하여 인삼은 한번 심으면 최소한 15년동안 다시 심을 수 없고 토양과 지형에 따라 수량이 크게 다르므로 인삼에 맞는 땅을 골라야 한다.
그리고, 산삼의 자라나는 환경과 가능한 가깝도록 하기 위해서 재배에 맞는 지역을 미리 준비하고 깊은 산의 활엽수를 모아 1∼2년간 인삼재배가 예정된 지역에 이를 사용 인삼의 생육에 적합하도록 토양을 바꾸어 준다.
우량한 인삼이 생육 되도록 하기 위해서 생장이 좋은 인삼에서만 종자를 채취하고, 채취한 종자 중에서 우수한 종자만을 엄선하여 묘삼을 생육한다.
그리고, 특수한 상토를 만들어 기른 묘삼을 이식하여 해가림을해서 화학비료를 주지 않고 기른다. 고려인삼의 재배는 전통유기농법을 그래도 유지하고 있는 가장 오래된 시설농업이라 할 수 있다. 두둑의 방향은 나침반을 사용하여 만들고 해가림은 하루중 또는 계절에따라 인삼이 직사광선을 직접 받지 않도록 설치한다. 인삼은 뇌두,동체,각부가 균형 있게 발달된 큰 뿌리로 키우는 것이 재배의 핵심이다.
본포에 한 번 심겨지면 3 ~ 5년간 동일 장소에서 재배되므로 예정지 관리 상태가 불량할 경우에는 수확기까지 장기간 불량 조건에서 생육하게 되므로 합리적인 예정지 관리가 가장 중요함.
음지에서 자라게 되므로 식물체가 연약하게 생육
반음지상태에서 식물체가 연약하게 생육되므로 병에 걸리기 쉽고,일단 병에 걸리면 치료가 곤란하므로 튼튼한 생육 및 예방 위주의 약제 살포가 필요.
※ 무우는 내비성이 강하고 1년간(실제 생육기간 3개월) 다량의 양분을 흡수하므로 시 비량을 증가시켜야 하지만, 인삼은 6년간(실제 생육기간 36개월)흡수되더라도 무우 3개월간 흡수되는 양보다도 적고 그것도 소량씩 서서히 장기간 동안 흡수되므로 토 양의 물리성이 좋고 토양 수분이 적당하며 세근의 발육 상태만 좋으면 토양중 양분 부족에 의한 생육 저해는 거의 나타날수 없다. 따라서 예정지 관리시 토양에 양분 공급 위주보다는 토양의 물리성 개선 위주로 유기물 시용과 관리를 해야 한다.
※ 6~8월 고온기 외부 기온이 30℃ 이상일 경우 인삼포내 기온은 외부기온 보다 3~4℃ 정도 상승 (따라서 광합성 중단과 호흡량 증가, 또는 고온장해 증가로 근비대 저하)
※ 해가림 설치 규격 준수 및 적격 피복물 사용으로 해가림내 온도상승 억제가 중요
※ 고랑 및 두둑폭과 해가림길이 규격준수에의한 해가림내 통풍의조장으로 해가림내 온도상승억제가 필요
비옥도 성분 |
낮음 [부족] |
보통 [적합] |
높음 [허용범위] |
매우높음 [과비] |
---|---|---|---|---|
pH | 5.0 이하 | 5~6 | 6~6.5 | 6.5 이상 |
유기물[%] | 1.5 이하 | 1.5~2.0 | 2.0~3.5 | 3.5 이상 |
P₂O5[ppm] | 70 이하 | 70~200 | 200~300 | 300 이상 |
K[me/100g] | 0.2 이하 | 0.2~0.5 | 0.5~0.8 | 0.8 이상 |
Ca[ 〃 ] | 2.0 이하 | 2.0~4.5 | 4.5~6.0 | 6.0 이상 |
Mg[ 〃 ] | 1.0 이하 | 1.0~3.0 | 3.0~4.5 | 4.5 이상 |
E.C[mmho] | 0.05 이하 | 0.05~0.10 | 0.1~0.2 | 0.20 이상 |
※ 두둑이 낮을수록 우기에 심토층이 과습되어 세근이 표층으로 분포되므로 수삼 체형 불량, 난발삼과 적변삼 증가
묘포의 종류는 양직, 반양직, 토직 등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 약토조제법 ]
재 료 | 부엽토 | 쌀 겨 | 깻 묵 | 골 분 | 부엽토 + 첨가제 |
---|---|---|---|---|---|
소요량 | 98 ℓ | 1ℓ | 0.5ℓ | 0.5ℓ | 50:1 |
[ 양직묘포의 상토재료 ] (상면규격 : 90cm×180cm)
재 료 명 | 소 요 량 | 규 격 |
---|---|---|
약토 | 90∼100ℓ내외 | 약토 조제법 참조 |
원야토 | 200ℓ내외 | 화강암의 풍화토로 투수성이 양호하고 병충의 오염이 없는 것 |
모래 | 22ℓ내외 | 약간 굵은 것(복토용) |
각 도 | 근 중[g] | 천지삼율[%] | 동할삼율(%) |
---|---|---|---|
90˚ | 77.3 | 14.1 | 5.2 |
45˚ | 83.8 | 15.0 | 16.0 |
0˚ | 84.0 | 16.7 | 31.0 |
인삼의 재배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